안녕하세요. 다음주 3/9일(월요일)부터 마스크 5부제 정책을 실시하게 됐습니다.
마스크 공적 판매처를 지정해서 마스크를 정부 주관하에 판매중이지만 여전한 마스크 수급 문제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과 불만이 쌓여가던 도중,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마련한 정책인데요.
아직 여러가지 부정확한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는 부분이 있어서, 독자분들을 위해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한 마스크 5부제 정책 관련 내용 공유 드리려고 합니다.
마스크 5부제란?
마스크 5부제의 핵심은 이렇습니다.
정책시행일인 3/9(월) 이전까지 마스크 공적판매처(우체국,약국,지역 하나로마트 등)에서
국민 1인당 구매 가능한 마스크의 양은 하루 5장이었습니다.
하지만 마스크 5부제 정책 시행일인 3/9(월)부터 공식 마스크 공적판매처인 약국/농협 및 우체국등을 통해서
구입할 수 있는 마스크의 양이 약국 : 1주일에 2장, 농협/우체국: 하루 1장으로 축소되게 됐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모든 개인이 하루에 1장, 일주일에 2장을 살 수 있는게 아니라,
차량 5부제처럼 요일을 구분해서 마스크를 살 수 있는 요일을 기준을 정해서 구분하는 것이 핵심이 되겠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차량번호에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날짜가 달랐던 차량 5부제처럼
마스크 구매도 (핵심)출생연도의 끝자리 숫자에 따라 구매할 수 있는 날짜가 달라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마스크 5부제의 핵심인 출생연도 끝자리 숫자별 구매 가능한 날짜를 아래 살펴보겠습니다.
출생연도 끝자리별 마스크 구매 가능 요일 정리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계시지만, 마스크 5부제의 핵심은 출생연도에 따라 구매할 수 있는 요일이 다르다는 겁니다.
다시한 번 말씀드리지만 생년월일의 끝자리가 아닌, 출생연도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마스크 구매 가능한 요일이 달라집니다.
ex)
1993년 2월 20일생 > 19930220
:끝자리가 0이니까 금요일? >X
1993년 2월 20일생 > 1993
: 출생연도가 1993년 > 3
마스크 구매 가능요일 -> 수/토,일(수요일에 구매하지 않거나 못했다면)
기획재정부에서 배포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한 요일별 구매가능한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에따라
1주일에 1인당 최대 2개까지 구매 가능하며, 해당 주차에 구매를 하지 못하거나 않았다고 하더라도
다음주차로 구매 개수가 이월되지 않으니 이 점도 꼭 숙지해야겠습니다.
또한 대리구매는 장애인등록증을 지참한 장애인의 대리인만 가능하며, 청소년을 비롯한 성인은 모두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여권,청소년증 등을 지참해야 구매가 가능한 점도 꼭 숙지해야겠습니다.
평일에 일하시는 직장인 분들께서는 근무 시간동안 마스크 구매가 어려우실 수 있으니,
5부제 제한이 없는 주말을 통해 마스크를 구매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시점인만큼 정책에 맞게 마스크 수급도 꼼꼼히 챙길 수 있어야겠습니다.